언제나 Tapex가 함께합니다.
테이팩스는 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및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이 지속가능경영의 핵심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안전이슈의 예방적 조치 및 환경안전경영 활동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전사적인 환경안전경영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안전사고 및 보건위험을 철저히 통제하여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위험 및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 위험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잠재적 비상사태 및 사고에 대한 유형별 대응절차를 마련하여 점검활동을 강화하고 구성원에게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 대기오염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높아진 사회적 기대수준에 부응하고자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처리하기 위한 RTO(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축열식소각로), AC타워(Activated Carbon Tower)등 최적의 방지시설 구축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적극 실천하고 있습니다.
항목 | 배출허용기준 | 사내 관리기준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먼지 | 30 이하 | 10 이하 | mg/Sm² | 2.53 | 2.29 | 2.33 |
SOx | 46 이하 | 20 이하 | ppm | 1.50 | 1.56 | 5.56 |
NOx | 50 이하 | 40 이하 | ppm | 34.86 | 38.32 | 36.40 |
항목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먼지 | 톤 | 13.98 | 13.86 | 10.38 |
SOx | 톤 | 0.35 | 0.60 | 1.13 |
NOx | 톤 | 9.96 | 11.66 | 5.44 |
화학물질에 대한 법적규제 강화에 대응하고 화학물질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 환경사고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전문가의 사전 검토를 진행함으로써 안전하고 적정한 취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화학물질 배출량 | 톤 | 25.1 | 29.7 | 29.0 |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 톤 | 1,518.8 | 1,989.7 | 1,552.4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유출 건수 | 건 | 0 | 0 | 0 |
유출량 | 톤 | 0 | 0 | 0 |
환경법/규정 위반 | 건 | 0 | 0 | 0 |
벌금 액수 | 만원 | 0 | 0 | 0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환경보호 투자 (환경 투자비용) | 백만원 | 1,378 | 731 | 2,411 |
환경 관리비용 | 223 | 59 | 176 |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발생된 폐기물은 성상 및 종류에 따른 철저한 분리수거를 통해 재활용 극대화 및 배출량 최소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일반폐기물 | 톤 | 820↓ | 800↓ |
지정폐기물 | 톤 | 470↓ | 450↓ |
생활폐기물 | 톤 | 35↓ | 32↓ |
재활용률 | % | 96↑ | 97↑ |
구분 | 처리 방식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일반폐기물 | 소각 | 톤 | - | - | - |
매립 | 톤 | 14 | - | 2 | |
재활용 | 톤 | 895 | 816 | 688 | |
합계 | 톤 | 909 | 816 | 690 | |
지정폐기물 | 소각 | 톤 | 30 | 56 | 62 |
매립 | 톤 | - | - | - | |
재활용 | 톤 | 458 | 411 | 432 | |
합계 | 톤 | 488 | 467 | 494 | |
생활폐기물 | 소각 | 톤 | - | - | - |
매립 | 톤 | - | - | - | |
재활용 | 톤 | 25 | 34 | 24 | |
합계 | 톤 | 25 | 34 | 24 | |
폐기물 총 발생량 | 톤 | 1,423 | 1,317 | 1,208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 발생량 | 톤 | 1,423 | 1,317 | 1,208 |
재활용량 | 톤 | 1,379 | 1,261 | 1,144 |
재활용률 | % | 96.9 | 95.8 | 94.8 |
생산활동 과정에서 공정 폐수는 발생되지 않으며,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오수에 대해 철저한 오염물질 배출농도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항목 | 배출허용기준 | 사내 관리기준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TOC | - | 20 이하 | mg/ℓ (ppm) |
- | 9.36 | 7.21 |
COD | - | 20 이하 | mg/ℓ (ppm) |
8.60 | 12.55 | 6.36 |
BOD | 20 이하 | 4 이하 | mg/ℓ (ppm) |
1.81 | 1.30 | 1.40 |
SS | 20 이하 | 4 이하 | mg/ℓ (ppm) |
0.80 | 1.20 | 1.00 |
항목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TOC | 톤 | - | 104.88 | 102.24 |
COD | 톤 | 137.59 | 140.62 | 90.19 |
BOD | 톤 | 28.96 | 14.57 | 15.69 |
SS | 톤 | 12.80 | 13.45 | 11.21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배출량 감축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에너지사용량 (직접+간접) |
TJ | 264↓ | 268↓ |
온실가스배출량 (직접+간접) |
tCO2eq | 13,085↓ | 13,311↓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직접사용량 (Scope1) |
TJ | 80 | 76 | 85 |
간접사용량 (Scope2) |
TJ | 184 | 198 | 211 |
총 사용량 | TJ | 264 | 273 | 295 |
에너지사용 집약도 |
GJ/십억원 | 1,699 | 1,516 | 2,055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직접배출량 (Scope1) |
tCO2eq | 4,285 | 4,131 | 4,644 |
간접배출량 (Scope2) |
tCO2eq | 8,800 | 9,452 | 10,080 |
총 배출량 | tCO2eq | 13,085 | 13,583 | 14,724 |
온실가스배출 집약도 |
tCO2eq/십억원 | 84 | 76 | 103 |
범위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국내 | 가스 (LNG) | TJ | 49.66 | 38.79 | 37.92 |
가스 (LPG) | 30.48 | 35.55 | 45.19 | ||
전기 | 183.91 | 197.52 | 210.64 | ||
경유 | - | 0.11 | 0.06 | ||
휘발유 | - | 1.33 | 1.34 | ||
국내 계 | TJ | 264.05 | 273.29 | 295.15 | |
해외 | 전기 | TJ | - | - | - |
해외 계 | TJ | - | - | - |
범위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국내 | 전력 (태양광) | TJ | - | - | - |
국내 계 | TJ | - | - | - | |
해외 | 전력 (태양광) | TJ | - | - | - |
해외 계 | TJ | - | - | - |
생산활동 과정의 공정용수를 전량 재이용하는 용수 사용량 절감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용수 사용량 | 천톤 | 2,150↓ | 2,100↓ |
용수 재이용률 | % | 99↑ | 99↑ |
구분 | 공급원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양감공장 | 상수도 | 톤 | 221,847 | 218,792 | 190,363 |
지하수 | 톤 | - | - | - | |
해수 | 톤 | - | - | - | |
팔탄공장 | 상수도 | 톤 | 786,994 | 921,301 | 768,272 |
지하수 | 톤 | - | - | - | |
해수 | 톤 | - | - | - | |
유니랩공장 | 상수도 | 톤 | 1,048,727 | 1,016,366 | 1,004,522 |
지하수 | 톤 | - | - | - | |
해수 | 톤 | - | - | - | |
용수 총 사용량 | 톤 | 2,057,568 | 2,156,459 | 1,963,157 |
구분 | 단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 사용량 (상수도) | 톤 | 2,057,568 | 2,156,459 | 1,963,157 |
재이용량 | 톤 | 2,034,712 | 2,140,452 | 1,942,900 |
재이용률 | % | 98.9 | 99.3 | 99.0 |